Offbeat Explorer (300) 썸네일형 리스트형 30. 부암동 청와대 뒷편에서 상명대 사이의 동네이다. 부암동은 세검정(洗劍亭)쪽 길가에 높이 2m의 부침바위(付岩)가 있었기 때문에 동명이 유래되었다. 부암동은 무계동(武溪洞), 백석동(白石洞), 부암동(付岩洞), 삼계동(三溪洞) 등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북한산과 인왕산 자락에 위치하므로 바위, 계곡 등과 관련된 지명이 많다. 무계동은 자하문 밖 서쪽 골짜기에 있었던 마을로 수석(水石)이 맑고 경치가 매우 아름다운 곳이었다. 중국의 무릉도원(武陵桃源)에 있는 계곡처럼 생겼다 해서 무계동이 되었는데 안평대군(安平大君)이 쓴 「武溪洞」의 각자(刻字)가 남아 있다. 안평대군이 이곳에서 산정(山亭)을 세워 무계정사(武溪精舍)라 이름을 붙이고, 글을 읊고 활을 쏘는 등 심신을 단련하였다. 무계정사를 짓기 전에는 세종.. 29. 봉익동 종로3가역과 종묘 사이의 동네이다. 봉익동은 종묘와 깊은 관련을 지니고 있다. 태묘(太廟)·대묘(大廟)라고도 부르는 종묘(宗廟)와 담을 같이 하므로 일대의 동네를 대묘동·대묘골이라 하였고 종묘 앞으로 흐르는 큰 개울가의 넓은 반석은 빨래를 하는 마전으로 이용되었으므로 마전이 잇는 동이라 하여 마전동(麻田洞)이라 했는 데 줄여서 마동(麻洞)이 되었다. 대정동(大井洞)은 큰우물이 있으므로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봉익동의 「봉익」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왜냐하면 조선 초기 한성부 5부 52방과 갑오개혁 이후 5서(暑) 47방(坊)에 속한 동(洞)이나 계(契)의 이름에서도 이와 유사한 명칭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더구나 봉익이란 흔히 봉황새의 날개를 말하고 봉(鳳)은 임금을 뜻하기 때문에 봉자(鳳字.. 28. 무악동 독립문역 종로쪽 방향 인왕산 아래쪽 마을이다. 무악동은 1975년 서대문구 현저동의 일부가 종로구로 편입되면서 옛날 중국사신들이 오르내리던 무악현저(毋岳峴底)에 있다하여 붙여진 동명이다. 무악동은 무악현 아래에 있는 마을이므로 그 뜻을 따라 현저동으로 되었다가 다시 무악현의 이름을 따서 무악동으로 되었는데 이 무악현은 시대에 따라 여러가지 이름으로 부른다. 조선말까지는 중국사신의 유숙소인 모화관이 영천동에 있었으므로 모화관의 앞 곧 인왕산쪽의 동쪽 지점을 관전동(館前洞)이라 했고 그 반대쪽은 관후동(館後洞)이라 하였다. 홍제원(弘濟院)으로 넘어가는 고개를 모화현(慕華峴)이라 했는데 지명으로 변하여 통칭하게 되었다. 홍제원 북쪽에는 홍제천이 흐르고 있는데 이 홍제천은 사천(沙川)이라고 불렀다. 때문에 사천.. 27. 묘동 종로3가역 3호선라인 인근의 지역이다. 묘동은 이곳이 조선왕조 역대왕 및 배위(配位)의 신위(神位)를 봉안하고 제사드리는 종묘(宗廟)에서 가깝다는 데에서 동명이 유래되었다. 1914년 4월 1일 동명 제정시 누동·마동·묘동의 각 일부를 합하여 수은동(授恩洞)으로 하였다. 이때의 동명은 강제로 한국을 병합한 일제에 대해 반감을 갖는 한국인이 많았으므로 민심수습을 위해 소위 은사금(恩賜金)이란 명목으로 각 계층의 사람들에게 돈을 주며 기술을 가르치던 은사수산장(恩賜授産場)이 있었으므로 붙여졌다. 또한 1955년 4월 18일 동설치 조례에 따라 동장관할 구역의 행정동제를 실시하여 묘동은 훈정동·봉익동 일원과 함께 신설된 대묘동사무소의 관할에 속하였다. 이 때의 동명은 종묘(宗廟)를 태묘(太廟) 혹은 대묘(大廟.. 26. 명륜4가 혜화역 3번출구와 4번출구 사이의 동네이다. 명륜동4가는 1936년 4월 1일 숭4동을 유학교육의 유일한 기관인 명륜학원이 있는 동이라 하여 명륜정4정목(明倫町4丁目)으로 명명했던 데서 비롯된다. 명륜동4가는 북으로 명륜동2가와 명륜동3가, 동으로 대학로를 경계로 하여 동숭동과, 남으로는 연건동, 서쪽으로 창경궁로를 경계로 와룡동이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전형적인 주택가를 형성하고 있는 명륜동4가에서는 오래된 기와집들과 좁은 대지 위에 효율적 주택구조 기능을 갖춘 다세대·다가구주택이 적당한 비율로 혼합 배치되어 있다. 명륜동4가와 명륜동2가 사이로는 개천이 흘렀는데 지금은 복개되어 일대에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리를 중심으로 한 마을이 이루어졌으며 곳곳에 우물이 많이 있었다. 명륜동4가에 남아 .. 25. 명륜3가 성균관대학교를 포함함 지역이다. 명륜동3가는 1936년 4월 1일 숭3동이었던 이곳의 동명을 유학교육의 유일한 기관인 명륜학원이 있는 동이라 하여 명륜정3정목(明倫町3丁目)으로 명명했던 데서 비롯된다. 명륜동3가는 성균관이 위치했던 관계로 이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자연부락명이 많았다. 관동(館洞)은 성균관이 있다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관사람말이라고도 하였다. 관사람은 성균관에 모신 4성(聖) 10철(哲) 6현(賢)의 제사를 주관하는데 고려 말의 유학자 회헌(晦軒) 안유(安裕)가 노비 100명을 개성의 성균관에 바치면서 비롯되는데 이들의 일부가 한양의 성균관 주변에 자리잡으면서 자손이 번성하여 이룬 마을이며 주민이며 안씨노비촌이라고도 하였다. 안씨의 노비자손이 번창하자 이 마을에는 순홍안씨의 노비문서 없이는.. 24. 명륜2가 성균관대학교 정문 앞에서 혜화동까지의 지역이다. 명륜동2가는 1936년 4월 1일 숭2동을 유학교육의 유일한 기관인 명륜학원이 있는 동이라 하여 명륜정2정목(明倫町2丁目)으로 명명했던 데서 비롯된다. 명륜동2가는 조선 후기부터 동명이 많은 문헌에 나타나는 만큼 자연적으로 형성된 마을이 많이 있었다. 송동(宋洞)은 명륜동1·2가와 혜화동에 걸쳐 있는 마을로 우암 송시열이 살았던 집 부근의 마을이라해서 붙여졌다. 상토교동(上土橋洞)은 웃흙다리골이라고도 하는데 혜화동과 인접한 21·22번지 일대이다. 혜화동에는 2개의 토교(흙다리)가 잇었는데 2개 중에서 보다 윗쪽에 있는 것을 상토교(上土橋) 혹은 웃흙다리라 하고 이 다리 근방에 형성된 부락을 흙다릿골이라 하였다. 관기교동(觀 橋洞) 혹은 관기교골·관기다릿골.. 23. 명륜1가 성균관대학교 정문 앞에서 성북동방향이다. 명륜동1가는 1936년 4월 1일 유학(儒學)의 유일한 교육기관인 명륜학원이 있는 동이라 하여 명륜정1정목(明倫町1丁目)이라 한데서 비롯된다. 명륜학원은 국권이 탈취된 후 성균관이 경학원(經學院)으로 바귀면서 1930년 봄에 부설하였다. 명륜동1가는 조선시대에 있었던 여러 개의 자연부락들로 구성되었다. 성균관 서북쪽의 개천이 있는 곳에 있던 부락은 갯골 또는 포동(浦洞)이라 한다. 성균관길을 다라 북쪽으로 올라가 우암길과 마주치는 1통 일대가 여기에 해당된다. 도덕골 혹은 도덕동(道德洞)이라 부르던 곳은 성균관 동북쪽의 3통 일대에 해당되는데, 성균관에서 인륜의 대도를 강론하므로 그 뜻을 따라 마을이름을 지은 것이다. 또한 명륜동 3가쪽 혜화국민학교 근방에 웃우물..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