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ffbeat Explorer/2. 중구 (18) 썸네일형 리스트형 17. 삼각동 삼각동 동명은 이곳의 지형이 서쪽은 넓고 동쪽으로 가면서 좁아지는 삼각형 지형으로 생긴 데서 유래되었다. 삼각동은 조선 초기 한성부 남부 大平坊 일부 지역이었으며, 영조 27년(1751) 간행된 ≪도성삼군문분계총록≫에는 남부 대평방 하홍문계로 되어 있다. 1894년 갑오개혁 뒤 南署 대평방 대광교계 광교동・사자청동, 광교계 동천변동, 홍문동계 홍문동, 곡교계 곡교동, 소광교계 소광교동으로 되었다. 1914년 경성부의 전 지역에 대한 동명의 개편이 있었는데 1914년 4월 1일 경성부 구역 획정에 따라 경기도고시 제7호에 의해 경성부 남부 대광교동・사자청동・소광교동 일부와 홍문동 곡교동을 합쳐 삼각정으로 하였으며, 1943년 6월 10일 조선총독부령 제163호로 區制度가 실시되면서 중구 삼각정이 되었다. .. 16. 산림동 산림동 동명은 옛 지명인 살리뭇골을 한자명으로 산림동이라고 표기한 데서 유래되었다. 그러나 살리뭇골은 산림과는 관계없는 하천변의 평지에 형성된 자연마을이었다. 산림동은 조선 초기 한성부 남부 성명방 지역에 속했으며, 1894년 갑오개혁 뒤 南署 성명방 산림동계 소산림동, 대산림동계 대산림동, 연성위계 연정동・삼대동・후동・석정동 지역이 되었다. 그 뒤 1914년 4월 1일 경성부 구역 획정에 따라 경기도고시 제7호에 의해 남부 성명방 산림동・후동 각 일부와 삼대동・석중동・연정동을 병합하여 임정이라 하였으며, 1943년 6월 10일 조선총독부령 제163호로 區制度가 실시되면서 중구 임정이 되었다. 1946년 10월 1일 일제식 동명을 우리 동명으로 바꿀 때 중구 산림동으로 하였다. 이 마을은 1977년 9월.. 15. 북창동 북창동 동명은 조선시대 宣惠廳의 북쪽 창고가 있던 데서 유래되었다. 북창동은 조선 초기 한성부 남부 호현방과 서부 양생방 일부 지역에 속하였으며, 영조 27년(1751) 간행된 ≪도성삼군문분계총록≫에 의하면 한성부 남부 호현방 송현계・소공동계와 서부 양생방 태평관계・창동계・송현계 지역이었다. 그뒤 1894년 갑오개혁 뒤 전국의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한성부의 5部가 5署로 바뀔 때 남서 회현방 소공동계 소공동과 사축동・양동계 전교동・예빈동계 예빈동・송현계 송현동과 西署 양생방 창동계 창동・상동계 상동・태평동계 태평동 양동 전교로 나뉘어졌다. 1910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7호로 한성부에서 경성부로 바뀌면서 경기도 관할이 되었고, 1914년 4월 1일 경성부 구역 획정에 따라 경기도고시 제7호로 사축.. 14. 봉래동 봉래동1가 동명은 봉래동 지역을 분리 관할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봉래동 동명은 淸日戰爭이 시작되기 전 서울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이 마치 死地에 있던 상황이었으나 일본군이 들어와 만리창에 진을 설치하고 남대문 안에 들어가 일본거류민을 보호하자, 거류민들이 마치 지옥에서 신선이 사는 봉래산으로 옮겨온 느낌이었기 때문에 남대문 밖 마을을 봉래정이라 이름 붙인 데서 유래되었다. 봉래동1가는 조선 초기 한성부 서부 반석방에 속했으며, 영조 27년에 간행된 ≪도성삼군문분계총록≫에 의하면 서부 반석방 고순청계 연지계였다. 1894년 갑오개혁 때에는 한성부 西署 반석방 고순청계 순동・자암동, 연지계 매동・분동・남정동・연지동이었으며, 1895년 8월 4일에는 한성부 서부 반석방 고순청계・연지계 일대였다. 1910년 10.. 13. 방산동 방산동 동명은 마을 부근에 있는 假山 또는 造山이라 부르던 곳에 무궁화꽃을 많이 심어 그 꽃향기가 발산된 데서 유래되었다. 방산동은 조선 초기 한성부 남부 명철방에 속했으며, 영조 27년(1751)에 간행된 ≪도성삼군문분계총록≫에는 남부 명철방 청녕위계였다. 1894년 갑오개혁 뒤 남서 청녕위계 오교남변・연방동 일원으로 되었다. 그 뒤 1914년 4월 1일 경성부 구역 획정에 따라 경기도고시 제7호에 의해 경성부 남부 오교동・연방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방산정이라 하였으며, 1943년 6월 10일 조선총독부령 제163호로 區制度가 실시되면서 중구 방산정이 되었다. 1946년 10월 1일 일제식 동명을 우리 동명으로 바꿀 때 중구 방산동으로 하였다. 1977년 9월 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1185호에 의해 .. 12. 묵정동 묵정동 동명은 지금의 묵정동・충무로4가・충무로5가・필동2가・필동3가에 걸쳐 있던 먹절골의 감정우물에서 유래되었다. 묵정동은 조선 초기 한성부 남부 명철방과 훈도방 일부 지역이었으며, 영조 때는 남부 훈도방 묵정계동과 명철방 쌍이문계였다. 1895년 5월 26일 南署 명철방 쌍림동계 쌍림동・야현계 야현동 및 낙선방 묵동계 묵동으로 되었다. 그 뒤 1914년 4월 1일 경성부 구역 획정에 따라 경기도고시 제7호로 남부 쌍림동・야현동・묵동 일부를 합하여 新町으로 하였으며, 1943년 6월 10일 조선총독부령 제163호로 區制度가 실시되면서 중구 신정이 되었다. 1946년 10월 1일 일제식 동명을 우리 동명으로 바꿀 때 묵정동이 되었다. 1985년 9월 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2016호에 의해 장충동사무소의 관.. 11. 무학동 무학동 동명은 이 동의 북쪽에 남산의 줄기가 이어진 舞鶴峰(92m)이 있는 데서 유래되었다. 무학동은 조선 초기 한성부 남부 두모방(성외)에 속했으며, 영조 27년(1751)에 간행된 ≪도성삼군문분계총록≫에는 남부 두모방 신당리계・신촌리계였다. 1894년 갑오개혁으로 행정구역이 변경될 때 한성부 南署 두모방 왕십리계 무학동이 되었다. 1910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7호로 경기도 경성부 남부 두모방(성외) 왕십리계 무학동이 되었으며, 1911년 4월 1일 경기도령 제3호로 경성부 두모면 왕십리계 무학동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 경성부 구역 획정에 따라 경기도령 제3호로 경기도 고양군 한지면 하왕십리가 되었고, 1936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8호로 경성부 하왕십리정에 편입되었으며, 194.. 10. 무교동 무교동 동명은 조선시대 이 부근에 무기의 제조 관리를 맡아 보던 軍器寺가 있어 모전다리 부근에 있던 모교동과 구별하기 위해서 무교동으로 이름 붙인 데서 유래되었다. 무교동은 조선 초기 한성부 서부 여경방・황화방 지역과 남부 광통방과 중부 서린방 각 일부에 해당되었으며, 영조 27년(1751)에 간행된 ≪도성삼군문분계총록≫에 의하면 서부 황화방 소정동계・여경방 모전계, 도자동계, 남부 광통방 모전계, 대다방북변계 소다방남변계, 소다방북변계였다. 1895년 5월 26일 칙령 제28호로 5部가 5署로 바뀌면서 西署 여경방 모전계 사동・두죽동・면동・무교동, 중서 합동계 모교가 되었으며, 이듬해 8월 4일 칙령 제36호로 5署에서 5部로 다시 바뀌었다. 1914년 4월 1일 경성부 구역 획정에 따라 조선총독부령 ..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