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로 서울대병원 건너편쪽이다.
동숭동은 1914년 4월 1일 경성부의 동명제정 때 숭교방 동쪽에 있는 동이라 하여 동숭동이 동명이 유래되었다.
낙산 정상 부분부터 기슭 전체를 차지하는 동숭동은 일찍부터 경치가 아름다운 곳으로 손꼽았고, 성문(城門) 가까이 있는 도성(都城)안 마을인데다가 성균관(成均館)과 창경궁·배오개시장이 머지않은 곳에 있어 부락의 부락의 형성 여건이 좋았다. 따라서 현재까지 여러 개의 자연부락 이름이 남아 전한다.
남상문은 낙산 아래에 있는 마을로 선조 때 군수 남상문(南尙文)이 살았다. 명나라 사신 양호(楊鎬)가 낙산에서 놀다가 내려다 보니 마을 한가운데에 정원·연못·나무의 조화가 이루어진 경치가 뛰어나게 아름다운 것을 보고 단숨에 뛰어내려가 아름답게 정원을 가꾼 주인의 뛰어난 기상을 보고 감탄하여 그 집의 대문에다 「치덕구우달존지려(齒德俱優達尊之閭)」을 쓴 후부터 마을사람들은 남상문의 집을 자랑스럽게 여겨 마을이름을 남상문이라 불렀다.
백동너머의 마을은 너멍굴, 서울법대 부근은 먹골이었다.
쌍계동은 동숭동과 이화동에 걸쳐 있었던 마을로 쌍시내의 수석이 매우 아름답고, 뒤에는 바위가 기묘하면서도 수목이 울창하고 꽃나무가 많이 있어서 경치 좋기로 이름이 났다. 서울에서 아름답기로 이름난 곳은 첫째 삼청동, 둘째 인왕동, 셋째 쌍계동, 넷째 백운동, 다섯째 청학동을 꼽았다.
우잣골 또는 상백동은 동숭동과 혜화동에 걸쳐있는데 태종 때 박은(朴 )이 낙산(駱山)아래에 살면서 잣나무를 심고 백림정(栢林亭)이라는 정자를 세웠다.
신댓골 혹은 신대동(新岱洞)은 신대우물 근처에 있던 마을로 중종 때 학자 기재(企齋) 신광한(申光漢)이 살았는데 집 뒤의 석벽이 매우 기묘하고 우물이 맑고 차며 풍치가 아름다우므로 신대명승(申臺名勝)이라 붙인 데서 연유되었다. 신대동(申臺洞)이라고도 한다. 아랫골은 하백동(下栢洞)이라고도 하며 지금의 동숭아트홀 근방을 일컫는다. 이 근방에서 조선후기의 서화가인 표암(豹庵) 강세황(姜世晃)은 날마다 낙산에 올라 마을을 내려다 보며 그림 소재를 찾았다.
동숭동 30번지 서쪽에는 광례교(廣禮橋), 그 옆에는 동숭교(東崇橋)가 있었으나 전체가 복개되어 다리의 흔적을 찾아 볼 수가 없다. 쌍계재터는 성균관 동쪽에 있던 세조 때 문장가인 김유(金紐)의 서재터로 예조판서 강희맹이 부(賦)를 지어 칭찬한 일도 있다. 내간정(來澗亭)은 쌍계동에 있던 정자터로서 쌍계(雙鷄) 이재(李梓)가 이름을 지었다.
낭만과 젊음이 넘치는 동숭동에는 대학로를 인접하여 마로니에 공원을 비롯하여 많은 문화공간이 하나의 타운을 형성하면서 이채로운 주변 환경과 함께 발전하고 있다.
(종로구청 홈페이지 발췌)
1. 주요 지역
구 서울대학교 본관
구 공업전습소 본관
서울대학교 터
대학로
신광한 집터
홍덕전 터
쌍계재 터
내간정 터
광례교 및 동숭교 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