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계시글
-
생각나는대로
이번 대선에서 느낀점
나는 정치 전문가는 아니다. 게다가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사람도 아니다. 정확히 표현하면 좋아하는 정당은 없지만 더 안좋아하는 정당은 있는 정도인것 같다. 전략을 하는 사람으로 이번 선거를 보면서 드는 생각을 남겨놓으면 나중에라도 생각이 날 것 같아 정리를 해 보고자 한다. 지금부터 내가 하는 이야기는기본적으로 다 내 머릿속에서 나온 이야기이다. 근거도 없고 진실과 다를 수 있음을 미리 밝히는 바이다. 전략적인 측면에서 총평을 내려보자면 국민의 힘은 전술은 좋으나 전략에서 실패했고, 민주당은 많은 지지세를 얻었으나 지지세에 비해 아쉬움이 많이 남았고, 개혁신당은 영악하게 전략을 잘 세웠고 나름 성공적이었다고 생각한다. 그 중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개혁신당이었다. 개혁신당부터 이야기를 풀어가보고자 한..
-
내일을 위한 단비 (과학, 미래)
[조율자] 1부 공명하는 사람들 1장 미묘한 어긋남
1부. 공명하는 사람들 1장. 미묘한 어긋남도입 - 감각회의실 안은 조용했다. 이상할 정도로.사람들은 말을 하고 있었다. 문장들은 매끄럽고 논리적이었고, 가끔 고개를 끄덕이거나 메모를 하는 모습도 보였다. 그런데 어딘가 이상했다. 나는 가만히 그들을 바라봤다. 종이 넘기는 소리, 펜 끝이 책상을 두드리는 미세한 진동, 에어컨이 내뿜는 기계적인 바람 소리까지 전부 선명했다. 하지만 정작 대화는 흐릿했다.단순한 기분 탓일까? 아니, 아니다. 나는 오래전부터 이런 순간을 알아챘다. 아주 어릴 때부터.사람들 사이에 흐르는 공기가 맞지 않는 순간. 겉으로는 부드럽게 이어지는 대화 속에 숨어 있는 어색한 느낌."그러니까, 이번 프로젝트 일정은 조율이 끝났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될 것 같습니다. 다들 동의하시죠?..
-
내일을 위한 단비 (과학, 미래)
Chat GPT를 활용한 소설 쓰기
웹소설을 써보기로 했다. 정확히 말하면 내가 쓰는 것이 아니라 챗GPT를 이용해서 써 보려고 한다. 재밌는 시도가 될 것 같다. >보이지 않는 균형을 맞추는 사람들, 그들은 세상의 흐름을 조율하는 자들이다. 📌 개요 제목: 조율자 장르: 철학적 판타지 / 사회 우화 / 미스터리 특징: 누구나 느끼지만 신경 쓰지 않는 **‘공명’**을 탐구하는 이야기 강제적인 변화가 아닌, 자연스럽게 흐름을 조율하는 방식 기존 사회 시스템과 인간관계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는 서사 📌 줄거리 주인공은 어릴 때부터 사람들 사이의 관계와 사회적 분위기에서 미세한 불협화음을 느껴왔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화하고, 일하고, 관계를 맺으..
-
풍족한 단비 (투자, 지원사업)
국내 금값에 대하여
어제오늘 금값이 많이 올랐다.한국거래소 금현물 종가 기준으로 2025년 2월 3일 138,000원에서 2월 4일 141,350원(2.43%), 2월 5일 147,820(4.58%) 상승을 하였다. 국제금값도 많이 오르긴 했지만 우리나라 금값이 유독 많이 올라버렸다. 국제 금 대비해서 얼마나 올랐을까 계산을 해 보았다. 국제금은 트라이온스라는 단위를 쓰고, 1트라이온스는 31.1034768그램이다. 작년 12월부터 몇일간 금값의 괴리율을 구해 보았다. 일자24/12/224/12/3025/1/1025/1/1525/1/2425/1/3125/2/325/2/425/2/5(17시 현재)국내금값119,310127,850129,210129,210130,350133,200138,000141,350147,820국제금값26..
-
풍족한 단비 (투자, 지원사업)
2024년 12월 26일 주요 경제 뉴스를 보다가
오늘 주요 경제뉴스의 핵심은 경기침체, 나아가 스테그플레이션 우려가 핵심인 것 같다. - 노란우산의 소상공인 폐업 공제금이 1조 3천억원을 넘어섰다고 한다.- 환율이 1500원을 향해 가고 있고 수출기업도 해외 거래처 계약에 문제가 생기고 있다고 한다. 국가 신인도문제, 원가 상승문제 등- 외식업장 카드 매출 9% 감소, 성탄 특수 없음- 한은, 금융안정 보고서, 대출 연체율 1.7%로 9년만에 최고치, 취약차주 연체율 11.55%로 11년만에 최고치, 소비자심리 88.4로 전월비 12.3p 하락, 코로나 팬데믹 당시인 2020년 이후 최대 폭 하락- 중기 수출 5.9% 늘었지만 내수 부진이 성장 발목, 3분기 성장률 0.1%. OECD 26위. 일본에도 뒤진 수치- 원 달러 환율 1500원대 눈앞. 내..